"sameAs": [ "https://blog.naver.com/your_naver_blog", "https://map.naver.com/v5/search/브레인시티 메디스파크" ] }
부동산 시장 안정 '투트랙'…공급 확대와 강력한 수요 억제
3기 신도시 공급 '속도전', 공공임대·공공분양 확대 추진
이재명 대통령이 부동산 시장 안정화 방향성의 큰 틀을 제시했다.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30일 기자회견에서 이 대통령은 "기존에 계획된 신도시는 반드시 추진하되 추가 신도시 개발은 신중하게 접근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기존 3기 신도시 사업의 공급 속도를 높여 시장 불안을 완화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반면 수도권 집중을 심화시킬 수 있는 신규 신도시 지정은 지역 균형발전 관점에서 신중히 검토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다.
또 6·27 대출 규제 시행 이후 과열 지역의 집값 상승세가 일단 한풀 꺾인 것으로 보이지만, 향후 시장 상황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추가 수요 억제 대책을 검토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시사했다. 이 대통령은 "대출 규제는 맛보기에 불과하다"고 강조하며 시장에 경고 메시지를 전했다.
공공임대·공공분양 확대…실수요자 중심 공급 강화
이 대통령은 "기존 신도시 계획이 여전히 많이 남아 있으며, 이들 사업의 속도를 높여 공급 불안 심리를 해소하겠다"고 말했다.
실제로 정부는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인천 계양, 고양 창릉, 부천 대장, 광명시흥 등 3기 신도시의 조기 착공과 분양 일정 단축을 추진 중이다. 이들 신도시에서는 공공임대와 공공분양 확대 실수요자 중심 분양 정책이 적용된다.
또한 기존 택지 재활용 도심 정비사업 유휴 국공유지 폐교 부지 등 가용 부지를 적극 활용해 공급 확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도심 재건축·재개발은 공공성을 강화하는 조건으로 고밀 개발을 허용하고 기부채납을 통해 공공임대 및 공공분양 비중을 늘리는 방안이 유력하다.
공급 확대와 함께 수도권 1극 체제를 완화하는 국토균형발전도 주요 목표로 제시됐다. 이 대통령은 "정책 결정과 예산 배분에서 인구 소멸 위험 등 지방의 특수 상황을 반영하겠다"며 "각종 복지정책과 지방교부세, SOC 투자 등에 지역별 가중치를 두겠다"고 강조했다.
李 대통령 "대출 규제는 맛보기"…집값 잡기 추가 대책 예고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대출 규제는 맛보기에 불과하다"며 "강력한 수요 억제책이 남아 있다"고 언급했다.
정부는 6월 27일 가계부채 관리 방안 발표 이후 서울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대출 규제를 크게 강화했다. 수도권 및 규제지역 내 주택담보대출 한도는 6억 원으로 제한됐고 다주택자와 갭투자(전세 낀 매매)자의 추가 대출은 전면 금지됐다. 주택담보대출 만기는 30년 이내로 제한되며 대출 실행 시 6개월 이내 실제 거주 의무가 부과됐다. 정책대출(디딤돌 보금자리론 등) 공급도 25% 축소됐다.
시장 과열 현상이 지속될 경우 추가 금융 규제가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규제 지역 담보인정비율(LTV) 추가 강화, 전세대출과 정책대출 등 총부채 원리금 상환 비율(DSR) 적용 대상 확대, 주담대 위험가중치 조정 등 거시건전성 규제 정비 등이 있다.
추가 수요 억제책으로는 조정대상지역과 투기과열지구 추가 지정, 전매 제한 기간 연장, 실거주 요건 강화 등이 거론된다.
가장 강력한 수요 억제책으로는 보유세 및 양도소득세 등 세제 강화가 꼽히지만, 이 대통령이 후보 시절 "세금으로 집값을 잡는 일을 하지 않겠다"고 언급한 만큼 최후의 수단으로 남겨둘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심형석 우대빵 연구소 소장은 "공시가격 현실화를 통해 보유세 등 세금을 더 걷는 방법을 강구할 수 있다"며 "문재인 정부 시절 순차 시행했던 공시가현실화율이나 공정시장가액비율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6월 다섯째 주 기준 0.43%에서 0.40%로 상승폭이 둔화했다. 강남 3구와 마용성 등 서울 주요 인기 지역은 모두 상승폭이 한풀 꺾였다. 다만 대출 규제 시행 직전 매수세가 쏠리며 양천·영등포 등 일부 지역과 과천·분당 등 수도권 지역은 수년 만의 최대 상승폭을 기록하며 풍선효과가 나타났다.
이번 통계는 대출 규제 시행 직전 거래를 반영한 수치로 본격적인 정책 효과는 7월 1주차부터 반영될 전망이다.
부동산 시장 안정 '투트랙'…공급 확대와 강력한 수요 억제
3기 신도시 공급 '속도전', 공공임대·공공분양 확대 추진
이재명 대통령이 부동산 시장 안정화 방향성의 큰 틀을 제시했다.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30일 기자회견에서 이 대통령은 "기존에 계획된 신도시는 반드시 추진하되 추가 신도시 개발은 신중하게 접근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기존 3기 신도시 사업의 공급 속도를 높여 시장 불안을 완화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반면 수도권 집중을 심화시킬 수 있는 신규 신도시 지정은 지역 균형발전 관점에서 신중히 검토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다.
또 6·27 대출 규제 시행 이후 과열 지역의 집값 상승세가 일단 한풀 꺾인 것으로 보이지만, 향후 시장 상황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추가 수요 억제 대책을 검토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시사했다. 이 대통령은 "대출 규제는 맛보기에 불과하다"고 강조하며 시장에 경고 메시지를 전했다.
공공임대·공공분양 확대…실수요자 중심 공급 강화
이 대통령은 "기존 신도시 계획이 여전히 많이 남아 있으며, 이들 사업의 속도를 높여 공급 불안 심리를 해소하겠다"고 말했다.
실제로 정부는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인천 계양, 고양 창릉, 부천 대장, 광명시흥 등 3기 신도시의 조기 착공과 분양 일정 단축을 추진 중이다. 이들 신도시에서는 공공임대와 공공분양 확대 실수요자 중심 분양 정책이 적용된다.
또한 기존 택지 재활용 도심 정비사업 유휴 국공유지 폐교 부지 등 가용 부지를 적극 활용해 공급 확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도심 재건축·재개발은 공공성을 강화하는 조건으로 고밀 개발을 허용하고 기부채납을 통해 공공임대 및 공공분양 비중을 늘리는 방안이 유력하다.
공급 확대와 함께 수도권 1극 체제를 완화하는 국토균형발전도 주요 목표로 제시됐다. 이 대통령은 "정책 결정과 예산 배분에서 인구 소멸 위험 등 지방의 특수 상황을 반영하겠다"며 "각종 복지정책과 지방교부세, SOC 투자 등에 지역별 가중치를 두겠다"고 강조했다.
李 대통령 "대출 규제는 맛보기"…집값 잡기 추가 대책 예고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대출 규제는 맛보기에 불과하다"며 "강력한 수요 억제책이 남아 있다"고 언급했다.
정부는 6월 27일 가계부채 관리 방안 발표 이후 서울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대출 규제를 크게 강화했다. 수도권 및 규제지역 내 주택담보대출 한도는 6억 원으로 제한됐고 다주택자와 갭투자(전세 낀 매매)자의 추가 대출은 전면 금지됐다. 주택담보대출 만기는 30년 이내로 제한되며 대출 실행 시 6개월 이내 실제 거주 의무가 부과됐다. 정책대출(디딤돌 보금자리론 등) 공급도 25% 축소됐다.
시장 과열 현상이 지속될 경우 추가 금융 규제가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규제 지역 담보인정비율(LTV) 추가 강화, 전세대출과 정책대출 등 총부채 원리금 상환 비율(DSR) 적용 대상 확대, 주담대 위험가중치 조정 등 거시건전성 규제 정비 등이 있다.
추가 수요 억제책으로는 조정대상지역과 투기과열지구 추가 지정, 전매 제한 기간 연장, 실거주 요건 강화 등이 거론된다.
가장 강력한 수요 억제책으로는 보유세 및 양도소득세 등 세제 강화가 꼽히지만, 이 대통령이 후보 시절 "세금으로 집값을 잡는 일을 하지 않겠다"고 언급한 만큼 최후의 수단으로 남겨둘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심형석 우대빵 연구소 소장은 "공시가격 현실화를 통해 보유세 등 세금을 더 걷는 방법을 강구할 수 있다"며 "문재인 정부 시절 순차 시행했던 공시가현실화율이나 공정시장가액비율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6월 다섯째 주 기준 0.43%에서 0.40%로 상승폭이 둔화했다. 강남 3구와 마용성 등 서울 주요 인기 지역은 모두 상승폭이 한풀 꺾였다. 다만 대출 규제 시행 직전 매수세가 쏠리며 양천·영등포 등 일부 지역과 과천·분당 등 수도권 지역은 수년 만의 최대 상승폭을 기록하며 풍선효과가 나타났다.
이번 통계는 대출 규제 시행 직전 거래를 반영한 수치로 본격적인 정책 효과는 7월 1주차부터 반영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