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eAs": [ "https://blog.naver.com/your_naver_blog", "https://map.naver.com/v5/search/브레인시티 메디스파크" ] }
수도권 1만3865가구…경기서 대단지 위주로 1만295가구 공급
지방선 1만2542가구 청약…부산 4552가구, 충북 2098가구 등
대통령 선거가 끝나고 6월 전국에서 2만6000여가구의 아파트가 분양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4일 직방에 따르면 이달 전국 아파트 분양 예정 물량은 총 2만6407가구로 1년 전 분양 실적 1만8969가구 대비 약 39% 증가할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일반분양은 약 2만1550가구로 추정된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1만3865가구, 지방이 1만2542가구가 분양된다.
특히 수도권에서 경기가 1만295가구로 가장 많이 공급되며 서울과 인천은 각각 1865가구, 1705가구로 조사됐다.
지방은 부산 4552가구, 충북 2098가구, 대구 1419가구, 경남 1276가구, 충남 1238가구, 강원 987가구, 대전 509가구, 경북 463가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경기권에서는 1000가구 안팎의 대규모 분양이 집중된다.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클러스터용인경남아너스빌’ 997가구,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 ‘고양장항S1’ 869가구, 평택시 장안동 ‘브레인시티6BL로제비앙모아엘가’ 1215가구, 김포시 고촌읍 ‘오퍼스한강스위첸’ 1029가구, 김포시 풍무동 ‘해링턴플레이스풍무’ 1769가구 등이다.
서울에서는 송파구 신천동 ‘잠실르엘’ 한 곳만이 분양을 앞두고 있다. 잠실르엘은 기존 진주아파트를 재건축한 단지로 총 1865가구 중 219가구가 일반분양 예정이다.
인천에서는 서구 청라동의 ‘청라피크원푸르지오(B1)’가 1056세대 규모로 공급된다.
그 외 지방에선 경남 양산시 평산동 ‘양산자이파크팰리체’ 842가구, 부산 해운대구 재송동 ‘르엘리버파크센텀’ 2070가구, 부산 강서구 강동동 ‘에코델타시티푸르지오트레파크’ 1370가구, 충남 아산시 탕정면 ‘아산탕정자이센트럴시티’ 1238가구, 충북 청주시 서원구 장성동 ‘신분평더웨이시티제일풍경채1BL’ 1448가구 등이 공급을 앞두고 있다.
직방 관계자는 “이달 분양시장은 수도권과 일부 광역시를 중심으로 공급이 예정된 가운데 청약 흐름도 일정 수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특히 7월부터 시행되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규제가 잔금대출부터 적용되지만 입주자모집공고일 기준이기 때문에 6월 분양 단지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규제 시행 전 분양에 대한 수요자들의 선별적 관심이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최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결정은 시장에 심리적인 긍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면서도 “다만 중도금 등 집단대출은 대부분 분양 시점에서 금리가 확정돼 있고 실제 대출금리에 금리 인하 효과가 반영되기까지는 시차가 존재해 유동성 측면의 체감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또 “청약 수요는 단기간에 급격히 확대되기보다는 수도권 등 선호 입지를 중심으로 선별적인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한편 직방이 지난달 28일 기준 ‘5월 분양 물량’을 조사한 결과 1만2402가구가 공급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달 전국 평균 1순위 청약 경쟁률은 14.8대 1로 지난 4월 평균인 4대 1보다 크게 개선됐다.
주요 청약 단지의 결과를 살펴보면 경기 화성시 ‘동탄포레파크자연앤푸르지오’ 민영주택 공급 분이 75.13대 1, 국민주택 공급분이 60.69대 1로 지난달 분양 단지 중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서울에서는 구로구 고척동 ‘고척푸르지오힐스테이트’가 13.52대 1, 은평구 대조동 ‘힐스테이트메디알레’가 11.0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수도권 1만3865가구…경기서 대단지 위주로 1만295가구 공급
지방선 1만2542가구 청약…부산 4552가구, 충북 2098가구 등
대통령 선거가 끝나고 6월 전국에서 2만6000여가구의 아파트가 분양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4일 직방에 따르면 이달 전국 아파트 분양 예정 물량은 총 2만6407가구로 1년 전 분양 실적 1만8969가구 대비 약 39% 증가할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일반분양은 약 2만1550가구로 추정된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1만3865가구, 지방이 1만2542가구가 분양된다.
특히 수도권에서 경기가 1만295가구로 가장 많이 공급되며 서울과 인천은 각각 1865가구, 1705가구로 조사됐다.
지방은 부산 4552가구, 충북 2098가구, 대구 1419가구, 경남 1276가구, 충남 1238가구, 강원 987가구, 대전 509가구, 경북 463가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경기권에서는 1000가구 안팎의 대규모 분양이 집중된다.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클러스터용인경남아너스빌’ 997가구,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 ‘고양장항S1’ 869가구, 평택시 장안동 ‘브레인시티6BL로제비앙모아엘가’ 1215가구, 김포시 고촌읍 ‘오퍼스한강스위첸’ 1029가구, 김포시 풍무동 ‘해링턴플레이스풍무’ 1769가구 등이다.
서울에서는 송파구 신천동 ‘잠실르엘’ 한 곳만이 분양을 앞두고 있다. 잠실르엘은 기존 진주아파트를 재건축한 단지로 총 1865가구 중 219가구가 일반분양 예정이다.
인천에서는 서구 청라동의 ‘청라피크원푸르지오(B1)’가 1056세대 규모로 공급된다.
그 외 지방에선 경남 양산시 평산동 ‘양산자이파크팰리체’ 842가구, 부산 해운대구 재송동 ‘르엘리버파크센텀’ 2070가구, 부산 강서구 강동동 ‘에코델타시티푸르지오트레파크’ 1370가구, 충남 아산시 탕정면 ‘아산탕정자이센트럴시티’ 1238가구, 충북 청주시 서원구 장성동 ‘신분평더웨이시티제일풍경채1BL’ 1448가구 등이 공급을 앞두고 있다.
직방 관계자는 “이달 분양시장은 수도권과 일부 광역시를 중심으로 공급이 예정된 가운데 청약 흐름도 일정 수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특히 7월부터 시행되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규제가 잔금대출부터 적용되지만 입주자모집공고일 기준이기 때문에 6월 분양 단지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규제 시행 전 분양에 대한 수요자들의 선별적 관심이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최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결정은 시장에 심리적인 긍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면서도 “다만 중도금 등 집단대출은 대부분 분양 시점에서 금리가 확정돼 있고 실제 대출금리에 금리 인하 효과가 반영되기까지는 시차가 존재해 유동성 측면의 체감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또 “청약 수요는 단기간에 급격히 확대되기보다는 수도권 등 선호 입지를 중심으로 선별적인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한편 직방이 지난달 28일 기준 ‘5월 분양 물량’을 조사한 결과 1만2402가구가 공급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달 전국 평균 1순위 청약 경쟁률은 14.8대 1로 지난 4월 평균인 4대 1보다 크게 개선됐다.
주요 청약 단지의 결과를 살펴보면 경기 화성시 ‘동탄포레파크자연앤푸르지오’ 민영주택 공급 분이 75.13대 1, 국민주택 공급분이 60.69대 1로 지난달 분양 단지 중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서울에서는 구로구 고척동 ‘고척푸르지오힐스테이트’가 13.52대 1, 은평구 대조동 ‘힐스테이트메디알레’가 11.0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